카테고리 없음

LCK 팬을 위한 추석 선물, 신설대회 ASI 일정 참가팀 알아보기

allinone-info 2025. 10. 9. 10:17
반응형

LCK 결승전 이후 다음 대회를 기다리는 팬들을 위해 새로운 대회가 신설되었습니다. 2025년 10월 6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되는 ASI(Asia Invitational)는 LCK·LPL·LCP 중위권 팀 8개가 참가하는 신설 국제전입니다. 

ASI 일정 참가팀 정보를 중심으로 조편성, 경기 포맷, 참가팀과 로스터 등을 알아보고 즐겁게 시청해봅시다. 자세한 정보와 정규 시즌 결과는 아래 버튼을 통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정규시즌 결과 확인하기 ←

 

목차

 

 

ASI는 어떤 대회인가? "월즈 직전, 실전 감각을 다시 끌어올리는 국제전"

올해 처음 열리는 ASI는 이름 그대로 ‘아시아 초청전’입니다.

월드 챔피언십 막바지 준비 구간에 맞춰 LCK, LPL, LCP에서

시즌 상위권엔 들지 못했지만 저력을 증명해 온 팀들을 초대해, 짧고 굵게 실전 감각을 점검하는 무대죠.

개막은 10월 6일, 결승은 10월 12일입니다.

 

온라인 기반 대회로 치러지며, 중국(UTC+8) 기준 일정을 한국 시간으로 맞춰보면

오전 타임부터 저녁까지 이어지는 하루 3경기 내외 구성이라 시청 루틴을 만들기 수월합니다.

 

무엇보다 Fearless Draft(중복 챔피언 금지 룰)을 채택해 메타 해석력이 탁월한 팀이 확실히 보상을 받는 구조입니다.

같은 조합을 반복하기 어려워 챔피언 폭·플랜 B를 갖춘 팀이 승부처에서 앞서가며,

코치진의 밴픽 설계가 경기력만큼이나 중요해집니다.

 

 

대회 일정·포맷·중계

대회 포맷

예선은 그룹 스테이지로 출발합니다.

8개 팀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Bo3 싱글 라운드 로빈을 치르고,

각 조 상위 2팀이 플레이오프로 진출합니다.

 

플레이오프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브래킷으로 진행되며, 결승만 Bo5로 승부를 봅니다.

조별리그에선 상대 전력이 한 번씩 공개되므로,

플레이오프에 올라온 팀들은 서로의 밴픽 습관과 운영 템포를 바탕으로 세트별 플랜을 새로 짭니다.

이 때문에 그룹→플옵 단계에서 팀 색이 눈에 띄게 정교해지는 장면을 자주 보게 됩니다.

ASI 일정 개요
날짜 세부 진행
10월 6일(월)~10월 9일(목) 그룹 스테이지(Bo3) — 하루 3경기 내외, Fearless Draft 적용
10월 10일(금)~10월 11일(토) 플레이오프 더블 엘리미네이션(Bo3)
10월 12일(일) 그랜드 파이널(Bo5)

 

중계 플랫폼

ASI는 동시 다중 송출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중국권 플랫폼 중심으로 Huya·Douyu·Bilibili 라이브가 제공되고,

각 지역 커뮤니티의 하이라이트 채널도 신속하게 편집본을 올립니다.

한국 팬이라면 ‘ASI 일정 참가팀’ 키워드로 국내 중계 파트너·해설 피드를 함께 확인해두시면 편합니다.

저지연 모드가 지원되는 앱으로 시청하면 채팅 응답성과 관전 경험이 한층 좋아집니다.

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

 

참가팀 라인업 : LCK, LPL, LCP의 만남!

올해 ASI 일정 참가팀은 총 8개입니다. LCK에선 DK(Dplus KIA), BFX(BNK FEARX), NS(농심 레드포스)가 잠재력을 시험하고, LPL에선 JDG Weibo Gaming TapTap, NiP가 세계적 운영 미학을 들고 옵니다. LCP(퍼시픽)에선 GAM Esports MGN Vikings Esports가 빠른 템포와 난전 설계로 판을 흔듭니다.

리그별 참가팀

ASI 참가팀 (리그별)
리그 올해 기조
LCK DK, BFX, NS 라인전 강점·한타 집중·밴픽 유연화로 국제전 적응
LPL JDG, WBG TapTap, NiP 강한 운영·개인 기량·초중반 스노우볼링
LCP GAM, MGN Vikings 빠른 교전 빈도·픽 다변화·기습적 오브젝트 의사결정

 

팀 단위의 색채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로스터 구성과 챔프 풀의 넓이입니다.

예컨대 DK는 중후반 오브젝트 설계를 바탕으로 원딜 캐리 미드 주도를 번갈아 쓰며,

BFX는 초반 라인전에서 균형을 찾은 뒤 세컨드 드래곤~바론 전 구간에 교전 타이밍을 잡아냅니다.

NS는 신인-베테랑이 섞인 구성으로 한타 집중력을 끌어올린 케이스죠.

 

LPL 3팀은 서로 결이 다른데,

JDG는 누적된 국제전 내공, WBG는 사이드·교차 압박, NiP는 변수 창출 능력으로 유명합니다.

 

퍼시픽의 GAM·MGN은 돌파형 교전과 스플릿 전개가 모두 가능해 Fearless Draft와 궁합이 좋습니다.

ASI 참가팀 중 어디가 가장 우승에 근접했느냐”를 묻는다면,

메타 적응 속도와 밴픽 설계 퀄리티가 최종 답을 좌우할 가능성이 큽니다.

 

 

주목해야 할 포지션 (세부 로스터)

로스터는 시즌 중 조금씩 변동되지만, 이번 ASI에서 특히 눈여겨봐야 할 포지션은 정글과 서포트입니다.

Fearless Draft 환경에선 한타 개시·시야 장악·오브젝트 시작 타이밍을 누가 선점하느냐가 승부를 가릅니다.

 

DK의 정글은 초반 동선에서 상대 정글과 충돌을 최소화하며 득점을 노리고,

BFX는 바텀-정글-서폿 삼각 편대가 초중반 템포를 올립니다.

NS는 라이너의 라인 주도권을 정글이 어디까지 받아먹을지에 따라 전투밀도를 조절합니다.

 

ASI 참가팀이 모두 공격적이냐” 하면 꼭 그렇진 않습니다.

LPL 대표 중엔 속도보다 완성된 형태에 방점을 두는 팀도 있고, 퍼시픽 대표는 속도에서 강세를 보입니다.

이 상반된 리듬이 맞부딪힐 때 경기가 가장 재밌어집니다.

 

 

ASI 참가팀 한눈표(주요 포지션·선수·핵심 전술)

아래 표는 ASI 공식 라인업을 기준으로

팀별 대표 포지션 선수핵심 전술을 요약했습니다. 실전에서는 상대·밴픽·패치에 따라 역할이 유동적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LCK 대표 3팀
팀(리그) 주요 포지션 선수(Top/Jg/Mid/AD/Sup) 특징 / 핵심 전술
Dplus KIA (LCK) Top: Siwoo 또는 Jaehyuk
Jg: Lucid 또는 Sharvel
Mid: ShowMaker 또는 Garden
AD: Aiming 또는 Wayne
Sup: BeryL 또는 Thumb
초중반 정글-미드 주도로 라인 주도권을 확보한 뒤, 드래곤·전령 타이밍에 세트 플랜을 가동합니다. 한타에선 원딜 캐리 축으로 시야를 두텁게 깔고, 바론 앞 강제 이니시에이팅(서포트·정글)으로 스노우볼을 확대합니다.
BNK FEARX (LCK) Top: Clear 또는 Sobor
Jg: Raptor 또는 Willer
Mid: VicLa 또는 Daystar
AD: Diable 또는 Envyy
Sup: Kellin 또는 Career
라인전 균형을 중시하며 2용 전후 교전 설계가 강점입니다. Fearless Draft 환경에서 챔프 폭을 넓게 가져가며, 봇 듀오의 체급으로 용·바텀 타워 이득을 쌓고, 미드-정글은 교전 각을 열어 한타 집중력으로 마무리합니다.
Nongshim RedForce (LCK) Top: Kingen 또는 Kangin
Jg: Sylvie 또는 GIDEON
Mid: Fisher 또는 Calix
AD: Jiwoo 또는 vital
Sup: Lehends 또는 Crack
상체의 교전 내구도를 바탕으로 전령-용 교환을 계산해 이득을 벌고, 후반에는 서포트의 시야 컨트롤과 원딜 포지셔닝으로 긴 호흡의 한타를 지향합니다. 변칙 밴픽으로 초반 변수도 자주 노립니다.

 

LPL 대표 3팀
팀(리그) 주요 포지션 선수(Top/Jg/Mid/AD/Sup) 특징 / 핵심 전술
JDG (LPL) Top: 상체 교전형 솔로라이너
Jg: 초중반 동선 주도형 정글
Mid: 웨이브 컨트롤·교전 개시형 미드
AD/Sup: 바텀 라인전 압박 듀오
초중반 라인 주도권을 모아 드래곤 스택바론 시퀀스로 연결하는 스노우볼 운영이 주력입니다. 미드-정글 2:2 강세 구간에서 게임을 터뜨리는 템포 장악이 승패 포인트입니다.
Weibo Gaming TapTap (LPL) Top: 사이드 압박 특화
Jg: 한타·오브젝트 개시형
Mid: 로밍·교차 압박형
AD/Sup: 후반 DPS 캐리 라인
사이드-미드 교차 압박으로 맵을 넓게 씁니다. 스플릿 견제→합류 한타의 전환이 빠르고, 바론 전 초시야 장악으로 강제 전투 각을 자주 만듭니다.
Ninjas in Pyjamas (LPL) Top: 탱·브루저 가변 픽
Jg: 초중반 갱·카운터 정글
Mid: 라인전 주도형 컨트롤
AD/Sup: 교전 개시/보조 유연 듀오
상체가 초반 변수를 만든 뒤, 2용 전후 한타 템포로 전환합니다. 상대 조합에 따라 탑의 프론트라인 두께와 서포트의 이니시 비중을 조절합니다.
LCP(퍼시픽) 대표 2팀
팀(리그) 주요 포지션 선수(Top/Jg/Mid/AD/Sup) 특징 / 핵심 전술
GAM Esports (LCP) Top: 캐리형 브루저·AP 변주
Jg: 난전 유도형 동선
Mid: 스노우볼 중앙 허브
AD/Sup: 교전 빈도 높은 봇 듀오
빠른 합류와 스택형 오브젝트 교전으로 템포를 끌어올립니다. 변수 창출을 중시해 초반부터 강한 교전 빈도를 보여 줍니다.
MGN Vikings Esports (LCP) Top: 탱/딜 가변 스위치
Jg: 오브젝트 타이밍 설계형
Mid: 로밍·시야 연계형
AD/Sup: 후반 한타 캐리
오브젝트 타이밍 설계와 시야-합류의 교과서적 운영이 강점입니다. 2코어 이후 후반 한타 집중으로 역전각을 노립니다.

LPL·LCP 표의 선수 파트는 팀이 실제로 운영하는 역할 코어를 기준으로 표기했습니다.

국제전 로스터 공지·현장 컨디션에 따라 스타팅 멤버는 바뀔 수 있으며,

ASI에서는 Fearless Draft 특성상 세트마다 포지션별 챔피언 역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

 

관전 포인트와 시청 팁

그룹 마지막 날에 가까운 10월 9일(목)에는

BFX 대 MGN,

DK 대 GAM,

NiP 대 NS처럼 각 리그의 스타일이 제대로 충돌하는 매치업이 배치됩니다.

 

오전 첫 경기로 몸을 풀고,

두 번째 경기에서 양 팀의 스케일링 조합·교전 조합이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해 보세요.

세 번째 경기는 승자·패자 모두 플레이오프 진출 계산이 걸린 경우가 많아 밴픽 수싸움이 극대화됩니다.

ASI 일정 참가팀을 빠짐없이 체크하고 싶다”면,

하루 전날 공개된 스케줄에서 관심 팀·관심 포지션 위주로 알림을 걸어 두는 편이 효율적입니다.

관전의 재미, Fearless Draft

Fearless Draft는 직전 세트에서 나온 챔피언을 같은 팀이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방식입니다.

한 팀이 3세트를 치르면, 최소 15개 이상의 챔피언을 소모합니다.

ASI처럼 짧은 기간에 연전이 이어지는 대회에선

스크림에서 준비한 조합 풀을 어디서 꺼낼지, 그리고 상대의 의도를 몇 번째 밴에서 끊을지가 중요해집니다.

이 룰 덕분에 “ASI 참가팀 가운데 누가 진짜로 넓은 챔프 풀을 갖췄는가”가 수치로 드러납니다.

결과적으로 팬들은 기존 리그보다 새 얼굴·희귀 조합을 더 자주 보게 되고, 코치진의 준비도가 곧바로 승패로 환산됩니다.

메타·템포·오브젝트

패치 25.19 환경에서 봇-정글의 연동과 바람/대지 드래곤 타이밍이 여전히 중요합니다.

초반 8~12분 구간의 전령-드래곤 교환을 누가 주도권으로 풀어가느냐에 따라 후반 설계가 갈립니다.

 

ASI 참가팀 중 LCK 삼팀은 한타 설계와 시야 장악에서 꾸준히 장점을 보여 왔고,

LPL은 라인전 주도권·스노우볼을 빠르게 굴리는 재능이 탁월합니다.

퍼시픽 대표는 변칙 설계로 맞불을 놓는 순간이 강력합니다.

 

이 셋의 충돌축에서 초반 교전 빈도가 높아질수록 LPL·LCP가 유리해지고,

한타 숙성도가 올라갈수록 LCK가 강세를 보이는 흐름이 예상됩니다.

시청 팁

모바일로 볼 때는 저지연 모드가 있는 앱에서 시청하시고,

집에서는 TV 앱으로 1080p 이상 화질을 맞춰 두시면 좋습니다.

중립 시청자라면 두 번째 경기의 밴픽부터 집중해 보세요.

같은 날, 같은 팀이 어떤 챔프를 버리고 무엇을 새로 들고 나오는지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ASI의 재미를 절반 이상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ASI 일정을 모두 챙기기 어렵다”고 느껴지면,

조별 마지막 날과 플레이오프 1·2라운드, 그리고 결승만 골라 보는 ‘집중 시청 루트’로도 충분히 서사를 따라갈 수 있습니다.

 

월즈는 단 한 팀만 우승하지만,

ASI는 여덟 팀이 동시에 자신을 증명하는 자리입니다.

 

새롭게 생긴 대회를 시청하며 이번 연휴 행복하게 마무리하시면 좋겠습니다.

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
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
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ASI 일정 참가팀

 

자세한 정보와 정규 시즌 결과는 아래 버튼을 통해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정보&정규시즌 결과 확인하기 ←

반응형